분류 전체보기(23)
-
일본여행-교토 아라시야마
교토여행의 핵심관광지 아라시야마... 패키지 여행이나 일일버스투어에 반드시 포함되는 곳으로 청수사(기요미즈데라)와 아라시야마가 있다. 두 곳을 중심으로 금각사(킨카쿠지), 은각사(긴카쿠지), 후시미이나리신사 등이 조합되는 경우가 많다. 아라시야마로 가기 위해 교토역에서 JR선을 타고 사가아라시야마역에서 내렸다. 시간은 약 15분 정도 걸렸고...역에서 도보로 7,8분 정도 거리에 있다. 아라시야마는 천룡사(텐류지)를 정면으로 볼 때 왼쪽으로 도월교(도게츠교)가 있고 오른쪽으로 죽림(치쿠린)이 있다. 텐류지는 입장료가 정원관람료와 사찰관람료로 구분되어 있는데, 난 저렴한 정원관람 선택하였다. 단풍이 곳곳에 보이기는 하지만 절정기와는 아직 보름 정도 차이가 있어서 비교적 한적하게 관광을 할 수 있었다. 텐류..
2018.12.19 -
일본여행-교토버스여행
개인적으로 해외여행은 패키지 여행을 선호한다. 장점은 여행준비에 대한 부담이 적고 비용의 측면 여행지에 대한 가이드의 안내 등이 있겠고 단점은 빽빽하게 진행되는 일정...가라는 대로 가고 먹으라는 대로 먹고...여행보다 사육된다는 느낌. 원하지 않는 쇼핑 스케쥴 등등이 있지만, 내가 자유여행보다 패키지여행을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언어의 문제이다. 그런데 이번에 일본 자유여행을 다녀오면서 언어의 문제는 그다지 크지 않다는 것을 느꼈다. 일본어는 30년 전 고등학생 시절 제2외국어로 3년간 배운게 다인데...히라가나는 읽겠는데 가다가나는 헷갈린다. 하지만 해외여행을 준비하면서 스마트폰에 번역어플과 구글맵, 인터넷검색을 할 수 있으면 해외여행도 별 어려움이 없다. 교토여행 둘째날... 버스여행을 준비..
2018.12.17 -
억새명소 - 상암동 하늘공원
가을하면 억새와 단풍이지요. 그중 억새명소로 민둥산, 포천 명성산, 제주도 등이 있는데, 서울에도 억새를 볼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월드컵 경기장이 있는 상암동 하늘공원에 가을이면 억새를 보러 많이들 오지요. 지하철 6호선 월드컵경기장 역에서 내리면 됩니다. 억새를 보러 하늘공원 가는 길은 계단을 통한 길과 경사로 길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경사로 길을 추천합니다만... 계단길이던 경사로길이던 5~8분 정도 올라가면 월드컵 경기장도 볼 수 있고 체력적으로 큰 어려움없이 가을 억새를 즐길 수 있지요. 하늘공원을 둘러보는데 두시간 정도면 충분합니다. 오후 4시 이후에 와서 천천히 둘러보면서 노을빛 속에서 하늘거리는 억새를 보고 억새축제기간에 공연일정을 확인해서 방문해도 좋겠지요. 그리고 늦은 저녁시간대에..
2015.09.24 -
양양 하조대
내 여행의 첫 시작 양양...그리고 하조대일년에 두세번씩 속초에 간다.함흥냉면이 먹고 싶을 때 속초 아바이마을 단천식당에 함흥냉면을 먹으러가고...그냥 멍때리고 싶을 때 양양 하조대에 간다.하조대 정자에 앉아서 바다건너 바위에 꿋꿋이 선 소나무를 멍때리며 보노라면복잡한 머릿속에 단순해진다. 대중교통으로 하조대행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내렸던 곳에 슈퍼에서 서울로 가는 표를 구매할 수도 있다.버스정류장에서 걸어서 5~10분 거리에 다리거 있는데,건너도 그만 안건너도 그만인 다리를 지나 하조대 해수욕장이 있다. 하조대해수욕장을 바라보면서 오른쪽으로 하조대 정자와 등대가는 길이 있다.하조대 앞까지 차가 올라갈 수 있고 승용차 10대 정도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이 있다.하지만 해수욕장 주차장에 주차하고 걸어..
2015.09.15 -
인제 곰배령
곰배령을 인터넷 검색하면 "천상의 화원", "야생화천국"이라는 별명이 많이 눈에 들어온다.유네스코에서 생태보존지구로 지정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야생화의 20%이상을 볼 수 있다.곰배령은 예전에는 할머니들이 장에 팔 물건을 지고 다녔다니, 트레킹 초보자들도 충분히 오를 수 있는 코스이다. 그러나 곰배령을 가는 길은 쉽지 않다.일년에 10개월, 일주일 중 5일, 하루에 300명의 탐방객에게만 허락된다.그리고 이미 다녀간 탐방객들도 한달에 한번만 입산이 허락된다. 입산을 위해서 산림청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점봉산 생태탐방 신청을 해야 한다.산림청 회원가입을 해야하지만, 핸드폰인증절차 등을 거쳐야 하므로 이래저래 귀찮다.핸드폰이 없거나 본인 명의의 핸드폰이 아니라면 주민센터에서 필요서류를 신청해야 한다.다른 방법..
2015.09.04